지금 소래에는 생존권을 둘러싼 상인과 주민들 간 마찰이 이어지고 있다. 대형 화재로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은 상인들이 공원에 임시어시장을 조성하자 주민들이 반발하며 극한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보는 누굴 탓하기도 쉽지 않은 갈등의 원인과 해법이 무엇인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 지난 1996년 1월 23일 소래포구 어시장 전경.  <인천 남동구 제공>
▲ 지난 1996년 1월 23일 소래포구 어시장 전경. <인천 남동구 제공>
소래포구 어시장의 시작은 1960년대로 알려진다. 어시장이 자리 잡은 소래포구는 일제강점기 당시 수인선 협궤열차가 부설되고 소래염전에서 일하는 염부들과 소금을 실어 나르는 목적으로 조성된다.

포구가 생긴 후 자연적으로 어촌이 형성됐고,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들어 황해도 등지의 실향민들이 모여들면서 어시장이 조성된다.

"1962년쯤에 인부들을 실어 나르는 어촌이 생겼어. 목구멍에 풀칠하기도 어려울 때였지. 그러다 1970년대 들어 소래포구를 찾는 배들이 늘어났고. 70년대 초반에는 30척 정도였다는데, 1980년대에 들어서는 150척으로 크게 늘었어. 법과 상관없이 어민들이 돌이나 모래 등을 날라서 포구를 매립해 만든 거야. 당시는 새마을운동이나 마찬가지였어. 80년대 이후 정부가 시멘트를 지원하면서 급성장했지."

1978년부터 소래포구에 자리 잡은 전익수(66) 전 소래어촌계장의 설명이다. 소래포구는 1980년대 초반, 인천항(연안부두)에 소형어선이 출입 금지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된다.

소래역사관 관계자는 "협궤열차가 폐선 된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추억 때문에 사람들이 찾아오고, 어시장이 관광지처럼 알려지게 됐다"며 "지금은 수도권 유일의 재래 어시장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이후 1990년대 후반께 남동구가 예산을 투입하면서 그때까지 노상에 파라솔을 치고 장사하던 형태의 어시장에 지붕이 씌워진다.

지난 3월 화재가 발생하기 전까지 약 20년 동안의 이어지던 모습이다. 화재를 계기로 올해 4월에는 소래포구가 정부로부터 국가어항으로 지정된다. 또한 현재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소유한 150억여 원 상당의 토지에 대해 지난 8월 남동구는 국유재산 매수를 신청했고, 올해 안에 매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구는 기존에 불법으로 운영되던 어시장의 합법화와 소래포구 활성화를 위해 장도로 86-14 외 2필지, 4천353㎡ 부지에 현대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총사업비는 토지매입비를 포함해 200억여 원으로, 내년 5월 착공해 9월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구 관계자는 "소래포구 현대화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관광객과 이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아울러 어선의 안전한 정박과 원활한 수산물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KDI에서 국가어항 관련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병기 기자 rove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소래포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