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판교 ICT융합센터 조감도. /사진 = 국토교통부 제공
인천의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기업들이 경기도 판교로 이전을 꿈꾸고 있다.

최근 정부까지 나서 ‘판교 제2테크노밸리 활성화 방안’을 내놓으면서 판교가 전국의 ‘스타트업 블랙홀’로 등장했다. 그러다 보니, 인천 ICT기업들도 덩달아 춤추는 모양새다.

이들 기업들의 ‘탈(脫) 인천’이 현실화 하면 지역 청년들의 일자리는 물론 미래 먹거리마저 경기도로 빼앗길 수 밖에 없다는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하지만 인천시와 지역 경제지원기관들은 아무런 대응도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넋 놓고 있다는 얘기가 설득력을 더 한다. 전문가들은 오로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내 부동산 개발위주의 정책에 치우치고 있는 시의 정책이 이 기회에 정부 방침과 시대 흐름에 맞게 전반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12일 인천시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1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에서 확대경제장관 회의를 열고, ‘판교 2밸리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정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판교 2밸리 내 창업공간을 기존 500곳에서 1천200곳으로 규모를 늘리겠다고 했다. 총면적의 30%를 창업기업 200곳에 무상임대공간으로 제공하는 ‘벤처타운’을 만들 계획도 제시했다. 사물인터넷(IoT)과 드론, 인공지능 등 11개 신산업 분야를 원스톱 지원하고, ‘스마트시티 및 자율주행차의 실증 메카’로 만들겠다는 목표까지 세웠다.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4차 산업혁명 시대 판교를 국가산업 전략거점화 하겠다는 구상이다. 경기도 역시 ‘4차 산업혁명의 선도와 일자리 창출’ 등을 제시하며 전국의 ICT와 스타트업 기업 등을 판교로 끌어 모으기 위해 각종 ‘당근책’을 내놓고 있다. 경기도 뿐만 아니라 도 산하 경제지원기관 등이 총동원 돼 관련 ‘기업 모시기’에 혈안이 돼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인천의 움직임은 ‘정중동(靜中動)’이다. 2015년 기준 인천의 ICT기업은 약 5천 개사에 달한다, 소프트웨어 기업도 426개사에 이른다. 여기에 스타트업 기업 등을 포함하면 대략 6천∼7천 개 기업이 인천에서 연구개발 및 영업활동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천시도 2015년 10월 ‘8대 전략산업’ 육성책을 내놨다. 바이오와 첨단자동차, 로봇 분야 등이다. 그러다 보니, 이 분야 기업유치는 판교와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BT), 문화·콘텐츠기술(CT) 분야 등의 스타트업들은 인천 대신 원스톱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판교에서 창업을 시작하거나 이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들 기업들이 여건이 좋은 판교로 이전한다면 그나마 유지돼 온 인천의 청년 일자리가 한 순간에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이 오면 가뜩이나 높은 인천의 청년실업률은 고공행진할 것이 뻔하다.

이에 따라 인천시와 지역 경제계가 적극 나서 해당 기업들의 판교 이전을 막을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인천 ICT 업체 한 관계자는 "FEZ 중심의 개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지역경제 전략을 마련해 원도심과 동반성장할 수 있어야 인천이 다시 살아날 것이다"라고 꼬집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