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다룬 영화 ‘1987’은 당시 민주화운동의 중심에 섰던 인물들뿐 아니라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를 바꾸는데 일조한 평범한 영웅들을 그리고 있다.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궜던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불씨를 지피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평범한 영웅은 영화 속 교도관으로 그려진 한재동(72)씨다. 한 씨는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궤변으로 잘 알려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을 세상에 알린 이다. 지금은 약 34년의 교정직 공무원 생활을 마감하고 경인교육대학교 조경 담당으로 재직 중이다.

올해 들어 가장 추웠던 지난 11일, 경인교대 체육관 한 쪽의 작은 사무실에서 그는 30여 년 전의 기억을 조심스럽게 더듬는다. 1947년 7월 전라남도 순천에서 태어난 한 씨는 군 전역 후 1971년 교정직 공무원에 첫 발을 디뎠다. 그는 열악한 교정 환경에 대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다 경주, 김천 등의 지방 교도소를 떠돌았다. 1975년 지방 근무를 마치고 자리를 옮긴 서울구치소에서 자유언론 투쟁을 하다 수감된 이부영(75)씨를 처음 만났다. 그 후 한 씨는 1984년 영등포교도소로 자리를 옮겼고, 1986년 5·3 인천사태의 배후로 지목돼 구속된 이 씨와 재회했다.

▲ 교정직 공무원 생활을 마감하고 경인교육대학교 조경 담당으로 재직 중인 한재동 씨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안양=홍승남 기자 nam1432@kihoilbo.co.kr
"다른 범죄자들과 달리 형(이부영)은 독재 정권과 맞서 옳은 일을 하다 수감된 민주투사였어요. 당시 교도소에는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잡혀 온 사람들이 많았는데, 저는 그들의 옥중서신을 외부에 전달하는 ‘비둘기’라 불리는 역할도 했었지요."

1987년 1월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박종철 군이 사망하면서 치안본부는 단순 쇼크사로 발표했다. 사건을 축소·은폐 하려는 전두환 정권의 공작이었지만 진실은 덮여지지 않았다. 당시 또 한 명의 교도관이 진실을 지켜보고 있었다. 한 씨의 상사였던 안유(74) 보안계장은 영등포교도소를 방문한 치안본부 간부들에게 고문 가담자는 따로 있다고 항의하는 경찰관들의 모습과 거액으로 회유하려는 간부들의 모습을 목격했다. 그리고 이 사실을 이부영 에게 알렸다. 안 씨에게서 사실을 전해들은 이 씨는 사건의 전말을 외부에 알리기 위해 모든 진상을 쪽지에 기록해 다음 날 한 씨에게 전달한다.

"형이 쪽지를 건네며 발각되면 우리 모두 죽는다고 말했지만, 애초부터 목숨을 걸고 시작했기 때문에 두렵지 않았어요."

쪽지에 담긴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은 ‘비둘기’ 한 씨를 통해 당시 재야 운동가였던 김정남(75)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에게 전해졌다. 그렇게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은 그 해 5월 18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열린 ‘광주민주화운동 7주기 추도 미사’를 통해 전국에 공표됐다. 이는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됐고 ‘6·29 민주화 선언’을 이끌어 낸 계기가 됐다.

"공무원은 국민에게 충성하는 것이지, 정권에 충성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입니다. 그것이 나의 신념이었지요. 자신의 목숨을 걸고 독재에 맞선 사람들을 보면서 양심에 따라 행동했을 뿐입니다."

우제성 기자 wj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한재동 씨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