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인천∼남포간 정기 화물선 트레이드포춘호가 지난 2010년 인천항에서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사진 =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제공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2010년 중단된 인천∼남포 바닷길이 8년 만에 다시 열릴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경제 발전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여서다.

 인천지역사회는 이 항로 재개뿐 아니라 인천∼해주 항로 신설 및 인천∼개성∼해주를 연결하는 삼각 경제벨트도 실현 가능하다는 기대에 차 있다. 인천항 물동량을 대거 끌어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입장이다.

 25일 지역 항만업계 등에 따르면 남북 간 해상운송은 2005년 8월 ‘남북해운합의서’와 ‘부속합의서’에 따라 본격화했다. 이에 남북에 각각 7개 항만의 해상 항로가 개설됐다.

 이 중 인천에서는 지금은 사라진 국양해운㈜ 소속 2천800t급 화물선인 트레이드 포춘호가 주 1회씩 인천∼남포 항로를 오갔다. 이 배는 적십자 지원 물자와 공산품 등을 싣고 북에 전달했다. 북한에서는 2007년부터 3년간 부정기선인 3천t급 북한 선박이 92항차 운항했다.

 인천을 통한 북한 전체 물동량은 2005년 424만1천t에서 2006년 1천25만t, 2007년 1천548만t, 2008년 1천211만1천t, 2009년 1천426만t, 2010년 83만2천t을 기록했다.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5·24 조치로 남북 교역이 단절될 때까지 총 4억4천34만t의 실적을 올렸다. 컨테이너 물동량도 5만8천445TEU가 포함됐다. 2008~2009년에는 인천항에서 처리한 북한 해상 물동량이 2천700만t에 달하기도 했다.

 지역 항만업계는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당장 인천∼남포 항로가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남포는 북한 내 도시 중에서도 정치·군사적 부담이 적고 노동력과 전력, 사회간접시설(SOC)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곳이다. 평양과도 가깝다. 북한 입장에서는 인천∼남포 항로가 절실하다.

 북한은 남포를 ‘IT 산업단지’로 만들겠다는 국가경제 개발 10개년 전략계획을 갖고 있다. 남한으로부터 각종 물자를 지원받아야 가능한 계획이다. 여기에 인천∼해주 항로가 신설되면 예성강을 통해 개성공단 인근까지 갈 수 있어 물류비용이 크게 줄어든다. 수도권∼개성공단∼해주를 잇는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은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이기도 하다.

 남북경협 재개 시 인천항은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과 북한 개성공단의 직선거리는 30㎞, 해주와는 20㎞에 불과하다. 때문에 남포 IT 산단 조성에 필요한 물자는 인천항을 통해 오갈 가능성이 높다. 해주경제특구에 제2의 개성공단을 만들면 인천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대박’인 셈이다.

 박창호 재능대 유통물류과 교수는 "인천은 지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시설 여건으로도 최적지"라며 "육로운송보다 해상운송 물류비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북한의 화물이 인천항으로 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배종진 기자 jongjb@kihoilbo.co.kr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바닷길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