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계대출.jpg
▲ 정부의 대출규제에도 인천지역 가계대출은 꾸준히 늘고 있다. 사진은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밀집한 원도심 전경.<기호일보 DB>
인천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새 정부의 규제 정책에 국내 가계대출 증가가 둔화세이지만 인천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중은행에서 대출받기가 힘들어지자 이자가 비싼 제2·3금융권으로 몰리고 있어서다. 문제는 대부분 ‘신용대출’이라는 점이다. 그만큼 시민들의 삶이 팍팍하다는 방증이다. 이는 악성 가계부채로 이어져 향후 ‘뇌관(雷管)’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4일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발표한 ‘최근 지역 금융기관 대출 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역은행의 가계대출은 기타 대출을 중심으로 지난 2월 1천200억 원에서 3월 1천955억 원으로 증가 폭이 확대됐다.

3월 말 기준 지역 은행의 가계대출 총 여신잔액은 39조9천207억 원으로 40조 원을 육박하고 있다. 비은행권(13조8천638억 원)까지 합치면 53조7천845억 원에 이른다. 이 중 약 19%인 10조1천763억 원이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이다.

3월 중 지역은행의 가계대출이 증가한 데는 본격적인 이사철을 맞아 주택 관련 자금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강화하고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을 도입하면서 신규 가계대출을 조이는 바람에 마이너스통장 대출 등 신용대출로 풍선효과가 발생했다는 얘기도 많다. 인천은 LTV, DTI의 규제 강화 지역(투기과열지구)은 아니지만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의 시행을 앞두고 서울 등 수도권에서 인천지역으로 투자수요가 많다 보니 이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으로 관측됐다.

문제는 신용대출이 주택담보대출에 비해 담보력이 현저히 약하고 고금리가 적용된다는 데 있다. 여기에 향후 주택 거래절벽 등 부동산 경기 둔화가 본격화하고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면 지역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그렇다고 제2금융권으로부터 주택담보대출을 받기도 만만찮다. 정부는 지난해 상반기부터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저축은행과 협동조합, 마을금고 등 비은행권의 집단대출도 옥죄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국적으로 가계대출이 역대 최고치(1천468조 원)를 기록하는 등 늘어난 신용대출이 가계부채 부실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한은 인천본부 관계자는 "정부 정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기타 대출이 느는 일종의 풍선효과가 전국적으로 나타났다"며 "정부가 저소득·고금리 신용대출 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신용대출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