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광역버스 운행 중단을 둘러싼 일주일간 줄다리기의 결과가 현상 유지로 결론 났다. 시민 편의를 위해 시가 해결책으로 내놓은 ‘전면 공영제’도 버스업체가 과제로 꼽은 ‘적자구조 개선’도 말로만 그쳤다.

▲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이 1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광역버스 업체의 노선 폐선 신청에 대한 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이 1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광역버스 업체의 노선 폐선 신청에 대한 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박준하 행정부시장은 폐선신청 민원처리 기한인 16일 "박남춘 시장이 오늘 오전 폐선 신청을 받아 들이고, 공영제로 가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며 "이에 대해 업체들이 ‘죄송하다’고 사죄하면서 철회 신청을 먼저 얘기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협의 과정에서 광역버스를 시가 직접 운행하겠다는 강수를 뒀다. <관련기사 3면>

19개 노선에 대해 폐선 처리를 받아들이고 내년 1월부터 교통공사가 맡는 공영제를 도입할 계획이었다. 폐선 이후 오는 21일부터 연말까지 업체들이 연장운행하면 그 기간 내 적자분을 보전해 주겠다는 구체적인 제안도 했다. 공영제를 도입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시민 불편을 덜고 광역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폐선을 철회하면서 시민편의를 내세운 시의 논리는 단순한 협상카드에 그쳤다. 버스업체가 열흘간 집회의 명분으로 삼았던 고질적인 적자구조도 개선 여지도 사라졌다.


버스업체가 요구한 올해 임금인상분 23억 원과 2020년 완전 준공영제 도입에 대해 시는 확실히 선을 그었다. 매년 20억 원가량 발생하는 적자 원인 중 하나인 조조할인 폐지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일부 노선을 조정해 달라는 요청 역시 반려됐다. 시의 강수에 업체는 자구책을 찾아보겠다고 했지만 기존에 나온 대책 밖에 뾰족한 대책은 없다.

이날 박 시장과 면담을 끝나고 나온 한 업체 대표는 "폐선을 철회하고 자구책을 찾기로 했는데, 마땅한 대책이 없어 고민"이라며 말을 아꼈다. 현재 수익구조를 유지할 때 예상되는 적자 규모는 올해 43억 원, 2019년 57억 원, 2020년 73억 원 규모이다. 구조개선 없이는 얼마 못가 주저앉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업계 얘기다.

시도 이 사실을 인정하고 버스업체가 추후 폐선 신청을 하면 바로 공영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인천시 버스공영제 도입 시기는 민간 버스업체가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백기를 들 때가 되는 셈이다. 오흥석 교통국장은 "자구책을 한다 해도 흑자 노선으로 가는 것은 어렵지 않겠냐는 얘기를 업체에게 했다"며 "어차피 공영제를 생각해 뒀기 때문에 도저히 안 될 것 같으면 어느 때라도 다시 오라고 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