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도시재생 전문가들은 시민들이 연구개발 기획·개발·실증과정에 참여해 사용자 주도형 모델로 혁신하는 ‘리빙랩’(생활 실험실)이 사회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법론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사회혁신 과정에 최종 수혜자인 시민들을 포함시키면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지난 7일 남동구 구월동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제28회 인천스마트시티포럼’을 열었다.

포럼에는 인천·부천·여주시 등 각 지방자체단체 도시재생 관계자와 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리빙랩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면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민요구 분석을 주문했다.

각 기관에 접수된 민원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분석해 시민들이 원하는 미래 인천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한계점과 역할을 정리하며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한계로는 재정 문제를 꼽았다. 유인상 LG CNS 스마트시티사업추진단장은 민관이 협력해 재정적으로 부족한 부분은 기업을 통해 채우고, 지자체가 총괄지휘해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유 단장은 "현대 도시의 재정은 적절한 운영보수비 관리가 중요한데, 재생사업도 마찬가지"라며 "자금력이 풍부한 유럽에서는 기금을 투입해 리빙랩 방식으로 도시 문제를 해결하지만 국내에는 그만큼 재정이 풍부한 지자체가 없고, 특히 인천시는 재정자립도가 떨어져 민간기업의 투자가 필수다"라고 말했다.

스마트 도시재생의 방향성은 지역 색을 입혀 일관된 서비스를 공급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만이 추구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기업과 시민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터를 만들어 줘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흥미로운 틀을 만들면 기업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재생사업에 참여하고 이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근거가 될 것이라 예상했다.

남광우 경성대 스마트커뮤니티연구센터장은 "어떤 스마트 도시재생 사업을 하느냐 보다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변화를 접목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로부터 특정 지역을 리빙랩 특구로 지정받아 시범운영하면 원도심으로 확대 가능한 사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나타났다. 서울시는 종로구 북촌마을에서 리빙랩 프로젝트를 적용해 도시문제 점검과 해결의 기회로 삼고 있다.

장원석 인턴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