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0.jpg
▲ 지난 2016년 11월 15일 인천 남동체육관에서 통리장들이 300개의 풍선을 날리며 인천인구 300만 돌파 축하와 행복한 인천주권시대를 기원하고 있다.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시가 300만 명 인구를 달성했다며 자축 샴페인을 터트리기는 ‘시기상조(時機尙早)’로 나타났다.

10일 인천연구원 조승헌 연구위원이 분석한 ‘인천 인구 300만 명 도달시기 전망과 경제적 대응방향’에 따르면 인천시 인구가 300만 명을 넘는 시기는 2024년 내외다. 통계청이 기존에 예측했던 2021년보다 3년 늦다. 2018년의 주민등록 연앙인구(당해와 전년 2년 연말 인구의 평균)는 295만3천 명에서 299만5천 명 사이였다.

연 평균 인구증가률 최고치인 0.06%를 적용하면 2021년에 300만을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증가율을 적용하면 사정이 달라진다.

인천의 인구 증가율은 2010년 1.81%에서 2014년 0.95%, 2016년 0.63%, 2017년 0.30%로 점차 줄었다.

최근 수치인 0.3%를 감안하면 2024년께나 300만 도시가 된다. 감소 추세인 증가율보다 큰 문제는 도시의 인구 구성이다. 인천의 경우 경제적으로 중요한 핵심경제활동인구 연령층(25세∼49세)의 구성비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다. 25세∼49세 인구 구성비율은 2000년 45.4%에서 점차 감소하다가 2015년 이후 40% 미만에 머물러있다. 이는 저출산, 고령화라는 사회적 현상의 영향이기도하나, 지역의 구조적인 문제도 크다.

인천은 서울과 경기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인구비율이 낮다. 영세제조업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전통적인 산업구조 때문이다. 2000년 세 곳의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비슷했으나, 2017년에는 서울 40.8%, 경기 39.7%, 인천 39.1% 순이었다. 장래 생산의 주체가 될 인천의 10대 인구 구성비는 2000년만 해도 31.1%에 달했으나 2017년 19.6%로 줄었다. 서울 17%보다는 높으나 경기 21%보다는 뒤 처진다.

이에 반해 부양 대상이 되는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율은 2000년 6.4%에서 점차 증가해 2017년 14.7%였다.

양질의 일자리가 없다 보니, 핵심경제활동인구와 그 자녀층에 해당하는 10대 인구가 경기도 등으로 이탈한다는 분석이다. 인천은 2017년 1천670명이 순전출했다. 25세∼49세에서 전출을 보였고, 65세 이상은 꾸준히 순전입 추세다. 경기는 2017년 11만6천162명 순전입이 있었다. 25∼49세 연령층은 연간 순전입에서 50% 이상의 비율을 유지한다.

전문가들은 핵심경제활동인구가 주축이 되고, 향후 경제활동을 담당할 유아층이 늘어나야만 지속가능한 경제구조 유지가 가능하다고 봤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동반된 지역 산업구조의 구도화 및 고용환경 개선이 없으면 경제인구의 지속적 유출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300만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