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부 지자체가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며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지만, 시민 의식의 부재 탓인지 자전거 파손 등이 심해 운영에 부담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도내에서 공공자전거를 시행 중인 지자체는 수원·고양·안산·부천·시흥·과천 등 6곳으로, 지자체 및 위탁업체가 대여·반납체계를 갖춰 운영하고 있다.

 공공자전거는 각 지자체마다 하루 동안 대여 시 최소 무료부터 최대 1천 원, 1년 회원권은 최소 3만 원에서 최대 6만 원으로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대여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자전거 운영이 수익사업이 아닌 만큼 자전거 수리비용이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는 지자체나 위탁업체에 부담이 되고 있다.

 고양시의 경우 민간업체를 통해 공공자전거 운영을 시작했지만 최근 3년간 자전거 수리 건수는 4만6천988건에 달한다. 자전거 1대당 1년에 6∼7번의 수리를 한 셈으로, 수리비용이 2억1천여만 원에 이른다. 시흥시도 상황은 비슷해 지난해 공공자전거 350대에 대한 수리 건수는 4천72건에 달했으며, 안산시도 최근 3년간 수리 건수가 2만7천여 건에 달하고 수리비용으로 1억2천여만 원을 사용하는 등 운영상 어려움이 적지 않다.

 최근 교통수단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는 자전거 타기는 건강과 체력을 유지·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운동 방법으로, 비교적 먼 거리도 다양한 코스를 달리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자전거를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많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고, 교통 혼잡 완화 및 환경오염 감소 등 사회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도 전 국민의 자전거 타기를 활성화하고, 자전거 이용자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4월 22일을 자전거의 날로 제정하기까지 했다.

 지자체가 시민들을 위해 공공자전거 수리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최대한 자기 물건을 쓰듯이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면 수리비용을 상당히 아낄 수 있다. 모든 비용이 시민의 혈세로 충당되는 만큼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공공의식에 변화가 요구된다. 아무리 제도가 좋아도 시민이 지키지 않으면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비록 공공의 물건이라도 내 물건처럼 아끼고 사용할 줄 아는 시민의식을 발휘해 주길 기대해 마지않는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