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00.jpg
▲ 경기 버스 파업 찬반 투표가 시작된 지난 8일 용인시 처인구의 한 버스업체 차고지에 버스들이 정차돼 있다. /사진 = 기호일보 DB
경기도의 버스요금 인상 결정으로 도내 광역버스 총파업이라는 급한 불은 껐지만 버스 노사 간 임금 갈등,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인력 충원 등 ‘버스 대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15일 도와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경기자노) 등에 따르면 당초 이날 파업을 예고했던 도내 광역버스 15개 업체 노사는 도의 버스요금 인상 발표에 따라 파업을 유보, 오는 29일까지 조정기간을 연장했다.

도가 버스요금을 200∼400원 인상키로 했기 때문에 버스업체는 2천72억 원 이상의 추가 수입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되면서 버스업체로서는 임금 인상을 요구해 온 노조의 주장에 부응할 수 있는 재원 마련의 기로가 열리게 됐다.

관건은 요금 인상에 뒤따를 도내 광역버스 운전자의 임금 인상 규모다.

경기자노 관계자는 "버스노동자들의 노동조건 개선에 대한 입장 변화가 없을 경우 내달 말로 임금협정이 만료되는 나머지 도내 버스노동자들이 투쟁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며 "총파업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파업을 예고했던 광역버스(15개 업체)는 도내 전체 시내버스 71개 업체 1만584대의 5.5%에 불과하다. 절반이 넘는 시내버스 업체가 단체교섭을 앞두고 있어 이 결과에 따라 두 번째 파업 시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인력 확보’다. 주 52시간제 적용을 받는 도내 300인 이상 사업장의 버스는 전체 시내버스의 67.7%로, 근무시간 단축으로 인해 부족한 운전자 수는 3천240∼5천600여 명 수준이다.

도의 요금 인상으로 추가 인력 채용을 위한 재원 확보에는 숨통이 트였지만 실제 단기간 내 필요 인원을 모두 충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는 7월 전까지 채용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을 1천여 명으로 보고 있다.

타 지자체 대비 높은 업무 강도, 낮은 임금체계 속에 도내 버스업계의 충원 인력은 지난해 1천200명 수준에 그쳤고, 1일 2교대를 목표로 도입된 도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참여 업체 15곳 중 11곳이 그간 필요 인력을 모두 확보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 전체 시내버스 2천185개 노선 중 46.6%인 1천19개 노선을 조정해야 하고, 버스 848대 감차가 불가피해 시내버스 운행률이 현재 91.8%에서 77∼82%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도는 분석했다.

도 관계자는 "요금 인상을 통해 인력 충원 및 운전자 임금 보전에 소요되는 재원의 일부를 충당함으로써 운행 감축을 최소화하고 도내 시내버스 업체들의 임금 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지원해 추가적 버스 파업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버스대란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