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인천시 중구 항동 인천항에서 관계자들이 제주도 상하수도본부가 보내온 생수를 하역하고 있다. 이 생수는 붉은 수돗물 사태로 불편을 겪고 있는 인천지역 주민들에게 전달된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20일 인천시 중구 항동 인천항에서 관계자들이 제주도 상하수도본부가 보내온 생수를 하역하고 있다. 이 생수는 붉은 수돗물 사태로 불편을 겪고 있는 인천지역 주민들에게 전달된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로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새로 태어날 수 있을까?’

인사·조직부터 예산까지 이번 참에 전부 개선하자는 게 시 안팎에 의견이다.

20일 시와 상수도본부 등에 따르면 전체 정원은 618명(청원경찰·공무직 제외), 행정·기술직은 431명, 관리운영직은 168명이다. 산하 사업소를 빼면 상수도본부는 업무부와 급수부, 시설부로 나뉜다.

업무부는 인사총무, 기획예산, 감사, 재무관리, 전산정보, 계약 등 분야를 맡는다. 유수율·상수도 시설·수질·관로 관리 등 상수도 주요 업무는 급수부와 시설부가 담당한다. 2개 부서는 대부분 시설직, 공업직이다. 환경직은 전혀 없다. 환경연구직(수질연구소)만 12명 있다.

급수부장은 시설직이고 시설부장은 정원상 공업직이지만 시설직이 맡고 있다. 부서별 팀장은 4명씩. 급수부는 토목직 1명, 기계직 1명, 전기직 1명, 화공직 1명이다. 시설부는 토목직 2명, 기계직 2명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급수·시설부에 환경직은 전혀 없고, 행정·기술직이 승진하기 위해 상수도본부로 가는 관행 때문에 일하기 싫은 사람, 일 못하는 사람이 모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직은 수질 관리 등이 전문이다. 이렇다 보니 전혀 필요 없는 직렬이 상수도본부에 흘러 들어왔다.

지난 18일 직위해제된 공촌정수사업소장은 지적직이었다. 이번 적수 사태는 공촌정수사업소 탁도계가 고장나 가정으로 적수가 공급된 것이다. 상수도본부는 예산이 넉넉하지 않아 노후관 개량사업을 제대로 못한다. 수도정비계획법상 2016년 167억5천만 원, 2017년 185억4천만 원, 지난해 190억 원, 올해 171억4천700만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환경부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인천의 관로 세관은 0m다. 부산은 관로 세관 4천162m, 대구는 관로 세관 127만6천261m로 인천보다 월등히 앞선다.

상수도본부 예산은 올해 4천350억 원으로, 지난해 3천191억 원보다 대폭 늘었으나 노후관 개량보다 고도정수처리 등 시설에 관심이 많다. 정수가 완벽해도 관이 녹슬면 적수가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시 예산 투입이 필요하지만 상수도본부는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출자가 쉽지 않다. 시는 2010년 2월 되레 상수도본부 돈을 꿔 가기도 했다. 181억 원을 빌려 2016년 갚으면서 46억 원의 이자를 줬다.

한편, 바른미래당 인천시당은 "상수도본부 행정·기술직은 정원 431명, 현원 359명으로 72명 결원이고 관리운영직(옛 기능직)은 정원 168명, 현원 183명으로 15명이나 초과했다"며 "전문성 있는 행정·기술직은 모자르고 이 부분을 관리운영직으로 채운 게 문제"라고 성명서를 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