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사회현상에 대비해 경기도가 ‘경기도형 치매안심 서비스체계’ 구축에 나섰다는 보도다. 도의 치매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경기도광역치매센터를 위탁 운영할 기관을 이달에 선정하고, 도광역치매센터를 통해 다음 달부터 ‘경기도형 치매안심 모델 연구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용역 추진은 도내 각 지역 현황을 반영한 경기도형 치매정책 수립을 위한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일선 시·군별 특성을 반영한 치매정책을 발굴하고,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형 치매안심 모델’을 내년 상반기 제시할 예정이다.

 고령화 사회에 따른 치매 환자 증가로 치매노인과 가족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이때에 치매 극복을 위해 도가 나선 것은 반가운 일이다. 통계청 시도별 노령화지수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노령화지수는 2021년에는 102.7로 100을 넘어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했으며, 점차 가속될 전망이다. 이처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인구고령화 현상은 자연히 의존성 노인인구 증가를 초래하게 될 것이며, 그 중에서도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치매노인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면서 이에 따른 치매환자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확대는 불가피한 일이다.

 치매는 현재 의료기술로 치료가 불가능에 가까워 발병 이전 단계에서 예방하는 방법이 최선이며, 또 초기 발견 시엔 증상 개선이 가능해 약 30%의 유병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치매에 대한 인식이 낮을 뿐만 아니라 치매노인 부양을 전적으로 가족에게 전담 지우는 등 보건복지 서비스 수준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치매노인이 있는 가정의 가족원들은 정신적, 육체적 부담이 클 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에 따른 고통이 적지 않다. 따라서 치매는 치매환자 개인만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정은 물론, 나아가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돼야 한다. 도내 고령화 심화에 따라 향후 증가할 가능성이 큰 치매환자와 그 가족들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지역별 맞춤형 모델 수립은 물론, 다양한 정책을 발굴·추진해 안정적인 치매 관리에 나서주길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