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중장년층이 복지정책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계층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지역 50∼64세 예비노인세대는 68만7천781명으로 전체 인구 292만2천973명의 23.5%에 해당한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65세가 되는 2020년부터 고령사회에 진입하는 인천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2019∼2023 중장기 계획을 통해 ‘모든 세대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사회’를 목표로 6개 영역 16개 과제를 제시했다.

 하지만 기존 노인 대상 사업에 예비노인세대를 포함시키는 등 중장년층만의 정책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들에 대한 사업은 재무 설계나 죽음 준비 등 교육 중심 사업이 대부분이고 직접적인 경제적 수혜를 받는 사업은 아예 대상에서 제외돼 있기 때문이다. 당면 과제가 많은 노인세대에 포커스를 맞추다 보니 이들 계층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탓이다.

 현재 중장년층은 부모 부양과 자녀 교육 등으로 지출이 가장 많은 시기로 가족의 생계안정과 가정의 행복이라는 무거운 짐을 지고 있다. 그러나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따라 조기 퇴직하면서 노동시장에서 새로운 소외계층으로 등장하게 됐다. 따라서 청년일자리, 노인일자리, 장애인일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한 중장년층 일자리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 더욱이 정년퇴직 이전에 직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안고 있는 현실에서 구조적 위기를 풀어낼 보다 촘촘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인천시민의 ¼에 달하는 중장년 계층은 정책의 지원 대상임과 동시에 사회적 기여가 충분히 가능한 세대다. 이들 계층을 위한 인천시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뤄진다면, 개인적 차원에서는 보다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동시에 노년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증가함으로써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전 복지서비스 개념을 탈피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은퇴 연령은 낮아지고 노후가 길어지면서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중장년층에게 인생 재도약을 위한 대응방안 모색은 그리 먼 훗날의 일이 아니다. 중장년층을 비롯해 청년, 여성, 노인 모두가 더 행복해질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복지국가가 아니겠는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