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송도국제도시 내 인천글로벌캠퍼스 전경.<사진=인천경제청 제공>

동북아 글로벌 교육허브 조성을 위해 추진된 송도국제도시 내 ‘인천글로벌캠퍼스’가 천문학적 재원을 지원받고도 자생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5대 해외 대학 유치를 위한 1단계 조성사업을 마치고 2단계 사업을 앞둔 상황에서 자립체계를 갖추지 못하면 2단계 사업의 중단은 물론 해외 대학 ‘무용론’ 압박도 거세질 전망이다.

5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내 최초 외국 명문 대학 공동캠퍼스인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송도동 187 일원 17만9천300㎡의 터(1단계)에 2009년 착공해 2011년께 완공됐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비 1천96억 원을, 시와 민간이 4천3억 원을 투입하는 등 총 5천199억 원을 쏟아부었다.


2012년부터 한국뉴욕주립대의 개교를 시작으로 한국조지메이슨대, 겐트대, 유타대 등이 차례로 유치됐지만 지난해 9월까지도 목표치인 5대 대학(최종 10개 대학)을 채우지 못했다.

여기에 이들 학교의 운영과 시설 유지를 위해 매년 200억 원의 비용이 들어가고, 각 학교별로 10억∼20억 원 이상의 지원금도 별도로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강의동, 도서관, 체육관, 수영장, 기숙사, 식당, 게스트하우스 등으로 구성된 시설물의 약 44%만 활용되고 있으며, 학생 수가 2천200명으로 전체 정원 4천200명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가장 먼저 입주한 뉴욕주립대의 경우를 봐도 정원 1천342명에 현원이 962명에 그치고 있다. 이 학생들마저도 대부분이 한국 학생들로 채워져 있다. 전체 2천여 명의 학생 중 외국인은 약 9%다. 학생 90% 이상이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면 글로벌 대학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다는 게 시의회 산업위의 입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해외 대학을 유치하면서 최초 4년간 재정 지원과 추가 3년간 재정 지원 연장이 가능하도록 한 협약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학생들이 정원 수에 도달하면 통상적인 학교는 등록금으로 운영비를 충당하는데 인천글로벌캠퍼스도 예외가 돼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강원모(남동4)의원은 "대학들이 빨리 자립해서 독립할 수 있도록 인큐베이팅이 빨리 끝나도록 해야 하고, 재정 지원도 4플러스 3이 아니라 4로 끝나야 한다"고 했다. 이어 "자립할 의지가 없는 대학은 일찌감치 정리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조광휘(중구2)의원은 "지속가능한 경영이 되는 것이 글로벌캠퍼스의 핵심인데, 시가 언제까지 재정 부담을 해야 되느냐"고 지적했다.

산업위는 1단계 부지 일원에 인천경제청이 사업시행자로 나서 조성하려는 2단계(11만5천700㎡) 사업 역시 1단계 사업의 추이를 지켜본 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