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화폐.jpg
▲ 성남사랑상품권. /기호일보 DB
경기도내 지자체들이 앞다퉈 ‘지역골목상권 전용화폐(지역화폐)’ 도입에 나서고 있지만 온누리상품권과의 기능 중복, 낮은 구매율 등의 탓에 성공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24일 도내 지자체 등에 따르면 현재 전국 56개 시·군에서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내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지역화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들 지역화폐는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인 전통시장, 상점가와 더불어 소규모 유통업, 중소 영세상가, 골목상권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 등에서 사용 가능하며 백화점, 대형 마트, 쇼핑센터 등 대규모 점포 및 유흥주점, 사행업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도내에는 성남과 이천·안양·가평에서 이미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있으며 안산·광명·부천은 올해 안에, 평택과 양주는 내년에 도입할 예정이다.

도내 지자체가 너도 나도 지역화폐 도입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지역화폐 활성화를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선 일반 시민들의 구매율이 낮다는 점이 가장 큰 장애로 꼽히는데, 이는 지자체 산하 관공서가 지역화폐의 주 수요처가 될 수밖에 없어 공무원과 기업체에 구매를 강요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결국 지역화폐 발행 시 할인 혜택과 경품행사, 가맹점 자체 할인 등을 통해 시민들의 구매율을 늘려야 하는데, 이럴 경우 할인 등에 따른 비용 보전이 지자체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온누리상품권과의 기능 중복도 문제다. 수원시는 2005년 ‘해피수원상품권’이라는 이름으로 지역화폐를 도입한 바 있으나 전국 통합 온누리상품권 유통에 따른 기능 중복, 지역화폐 사용실적 부진 등의 한계로 도입 6년 만인 2011년 판매를 중단했다. 이 밖에 상품권 발행에 따른 제작비, 수수료, 관리비 등 막대한 비용 발생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현재 200억 원 상당의 지역화폐를 발행할 경우 7억 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역화폐 제도 실시 전 시민, 전통시장, 상점가, 지역점포, 골목상권 등 다양한 계층의 공감대 형성을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내 A시 관계자는 "온누리상품권이 정부 차원에서 할인(5%)과 현금영수증 등 혜택이 부여되고 있음에도 보편화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봐도 지역화폐의 성공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며 "시민들의 지역화폐 제도에 대한 공감대 없이는 더더욱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나훔 기자 hero43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지역화폐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